1. 서론
2025년 2분기 조선업 실적이 일제히 발표되었다.
LNG 운반선과 같은 고부가가치 선종의 발주 확대, 환율 효과, 그리고 원가 구조 개선이 실적에 반영되며 조선3사 모두 의미 있는 개선세를 보였다.
이번 글에서는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의 2분기 실적을 리뷰하고, 수주잔고와 밸류에이션 지표를 함께 점검해 앞으로의 투자 시사점을 살펴본다.
2. 조선 3사 25년 2분기 실적 요약
회사 | 매출액 (YoY / QoQ) |
영업이익 (YoY / QoQ) |
당기순이익 (YoY / QoQ) |
---|---|---|---|
HD현대중공업 | 41,471억 (+6.8/+8.5) |
4,715억 (+170.5/+8.7) |
2,109억 (+68.0/-25.8) |
한화오션 | 32,941억 (+29.9/+4.8) |
3,717억 (흑전/+43.7) |
1,484억 (흑전/-31.2) |
삼성중공업 | 26,830억 (+6.0/+7.6) |
2,048억 (+56.7/+66.4) |
2,141억 (+189.3/+132.5) |
3. HD현대중공업 2025년 2분기 실적 리뷰
매출·영업이익은 성장세 지속, 순이익은 QoQ 감소
3.1 실적 요약
- 매출액: 41,471억 원 (YoY +6.8, QoQ +8.5)
- 영업이익: 4,715억 원 (영업이익률 11.4%, QoQ +8.7)
- 당기순이익: 2,109억 원 (QoQ -25.8)
항목 | 25.2Q | 25.1Q | 24.2Q | YoY (%) | QoQ (%) |
---|---|---|---|---|---|
매출액 | 41,471 | 38,225 | 38,821 | +6.8 | +8.5 |
영업이익 | 4,715 | 4,337 | 1,743 | +170.5 | +8.7 |
당기순이익 | 2,109 | 2,842 | 1,255 | +68.0 | -25.8 |
3.2 사업부문별 매출 추이 (단위: 억 원)
사업부문 | 25.2Q | 25.1Q | 24.2Q | YoY (%) | QoQ (%) |
---|---|---|---|---|---|
조선 | 28,496 | 27,433 | 28,395 | +0.4 | +3.9 |
해양·플랜트 | 2,460 | 1,590 | 1,584 | +55.2 | +54.7 |
엔진기계 | 10,289 | 9,011 | 8,651 | +19.0 | +14.2 |
기타 | 226 | 191 | 210 | +7.6 | +18.2 |
합계 | 41,471 | 38,225 | 38,840 | +6.8 | +8.5 |
3.3 수주잔고 추이 (단위: 억 원)
구분 | 25.2Q | 25.1Q | 24.2Q | YoY (%) | QoQ (%) |
---|---|---|---|---|---|
조선 | 332,614 | 356,437 | 348,381 | -4.5 | -6.7 |
해양플랜트 | 30,198 | 34,733 | 35,165 | -14.1 | -13.1 |
기타 | 100,630 | 105,166 | 79,743 | +26.2 | -4.3 |
합계 | 463,442 | 496,336 | 463,289 | +0.0 | -6.6 |
4. 한화오션 2025년 2분기 실적 리뷰
매출·영업이익은 견조한 증가, 순이익은 일회성 요인으로 감소
4.1 실적 요약
- 매출액: 32,941억 원 (YoY +29.9, QoQ +4.8)
- 영업이익: 3,717억 원 (영업이익률 11.3%, QoQ +43.7)
- 당기순이익: 1,484억 원 (QoQ -31.2)
항목 | 25.2Q | 25.1Q | 24.2Q | YoY (%) | QoQ (%) |
---|---|---|---|---|---|
매출액 | 32,941 | 31,431 | 25,364 | +29.9 | +4.8 |
영업이익 | 3,717 | 2,586 | -964 | 흑자전환 | +43.7 |
당기순이익 | 1,484 | 2,157 | -2,138 | 흑자전환 | -31.2 |
4.2 사업부문별 매출 추이 (단위: 억 원)
사업부문 | 25.2Q | 25.1Q | 24.2Q | YoY (%) | QoQ (%) |
---|---|---|---|---|---|
상선 | 28,061 | 25,675 | 21,105 | +33.0 | +9.3 |
해양·특수선* | 6,966 | 6,873 | 5,279 | +32.0 | +1.4 |
기타 | 301 | 254 | 266 | +13.2 | +18.6 |
연결조정 | -2,387 | -1,371 | -1,565 | — | — |
합계 | 32,941 | 31,431 | 25,364 | +29.9 | +4.8 |
※ 2025년부터 별도 분리 표기된 E&I(석유화학 플랜트 건설 등)는 비교를 위해 해양·특수선에 포함.
※ 연결조정 = 연결 대상 회사 간 내부거래 제거 금액 (성과와 무관).
4.3 수주잔고 추이 (단위: 억 원)
구분 | 25.2Q | 25.1Q | 24.2Q | YoY (%) | QoQ (%) |
---|---|---|---|---|---|
상선 | 203,291 | 234,538 | 225,539 | -9.8 | -13.3 |
해양·특수선* | 71,583 | 75,844 | 67,783 | +5.6 | -5.6 |
기타 | 18 | 20 | 23 | -21.7 | -10.0 |
합계 | 274,891 | 310,402 | 293,345 | -6.3 | -11.4 |
※ 해양·특수선 항목에는 E&I 포함.
※ 반올림으로 소계 합계와 1억 이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삼성중공업 2025년 2분기 실적 리뷰
매출은 안정적, 영업이익·순이익 모두 뚜렷한 개선
5.1 실적 요약
- 매출액: 26,830억 원 (YoY +6.0, QoQ +7.6)
- 영업이익: 2,048억 원 (영업이익률 7.6%, QoQ +66.4)
- 당기순이익: 2,141억 원 (QoQ +132.5)
항목 | 25.2Q | 25.1Q | 24.2Q | YoY (%) | QoQ (%) |
---|---|---|---|---|---|
매출액 | 26,830 | 24,943 | 25,320 | +6.0 | +7.6 |
영업이익 | 2,048 | 1,231 | 1,307 | +56.7 | +66.4 |
당기순이익 | 2,141 | 921 | 740 | +189.3 | +132.5 |
5.2 사업부문별 매출 추이 (단위: 억 원)
사업부문 | 25.2Q | 25.1Q | 24.2Q | YoY (%) | QoQ (%) |
---|---|---|---|---|---|
조선·해양 | 26,075 | 22,122 | 22,532 | +15.7 | +17.9 |
토건 | 900 | 1,838 | 3,287 | -72.6 | -51.0 |
내부거래/조정 | -589 | -482 | -499 | — | — |
합계 | 26,830 | 24,943 | 25,320 | +6.0 | +7.6 |
※ 연결조정 = 연결 대상 회사 간 내부거래 제거 금액 (성과와 무관).
5.3 수주잔고 추이 (단위: 억 원)
구분 | 25.2Q | 25.1Q | 24.2Q | YoY (%) | QoQ (%) |
---|---|---|---|---|---|
조선해양 | 252,787 | 317,698 | 323,369 | -21.9 | -20.4 |
토건 | 4,652 | 5,431 | 10,200 | -54.4 | -14.3 |
합계 | 257,439 | 323,129 | 333,569 | -22.8 | -20.3 |
6. 조선 3사 밸류에이션 비교(TTM, 8월말 기준)
항목 | 현대중공업 | 한화오션 | 삼성중공업 |
---|---|---|---|
주가 (원) | 520,000 | 111,800 | 21,300 |
시가총액 (조 원) | 46.16 | 34.26 | 18.19 |
BPS (원, ’25.06) | 69,646 | 17,056 | 4,101 |
PBR (배) | 7.47 | 6.56 | 5.19 |
EPS (원, TTM) | 10,520 | 2,835 | 322 |
PER (배) | 49.4 | 39.4 | 66.1 |
EV (조 원) | 44.63 | 38.25 | 20.33 |
EV/EBIT (배) | 32.0 | 46.4 | 32.7 |
- 현대중공업: PBR 7.5배로 자본 대비 프리미엄이 가장 크다. 안정적 체력·오프쇼어/방산 기대가 반영됐지만, 높은 기대치가 부담.
- 한화오션: PER은 낮아 보이나 부채로 EV/EBIT이 46배로 현금창출력 대비 가장 비싸다. 순차입금 축소가 핵심.
- 삼성중공업: PER 66배로 이익 기준 부담이 가장 크다. 다만 흑자 안정화 단계라 분기별 마진 확장 시 멀티플 빠르게 압축 가능.
정리: 현대중공업은 자본가치 프리미엄, 한화오션은 EV 기준 부담, 삼성중공업은 이익 대비 부담이 각각 두드러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