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개요
본 리서치는 2025년 11월 헬스케어(의약·의료기기) 수출 통계를 기반으로, 국내 제약·바이오 및 의료기기 산업의 최신 업황과 주요 품목별 실적 흐름을 분석한 자료입니다. 원료·완제 의약품, 인체용 백신, 진단키트, 치과·정형외과 임플란트, 인공관절, 스탠트, X-레이 디텍터 등 핵심 품목의 수출 데이터를 종합해 관련 기업들의 실적을 조기에 파악하고 투자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분석은 매월 10일 단위로 발표되는 수출 잠정치를 활용해 월간 수출 실적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선제적인 리스크 대응과 투자 기회의 조기 선점을 지원합니다. 특히 11월 헬스케어 수출 실적과 MoM·YoY 변화율, 품목별 성장·조정 트렌드까지 상세히 포함해, 제약(원료·완제), 백신·진단, 의료기기(임플란트·인공관절·스탠트·영상장비) 등 세부 카테고리별 시장 동향을 정밀하게 점검했습니다.
본 자료를 통해 국내 헬스케어 산업의 구조적 변화와 주요 기업의 실적 전망을 사전에 파악하시기 바라며, 11월 수출 잠정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적 방향성과 업종 트렌드를 선제적으로 확인해 투자 전략 수립에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데이터 확인 전 필독사항]
- 월별 수출 추정치는 매월 11, 21, 다음달 1일에 발표되는 10일, 20일 및 월말 수출 잠정치로 부터 추정한 값으로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음달 1일 발표되는 잠정치가 가장 신뢰할 만합니다.
- 11일, 21일 발표되는 수출 잠정치로 부터의 당월 추정은 현재의 추세가 월말까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산출된 추정치임을 반드시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예 ) 월 수출 추정치 = 10일( 또는 20일) 수출 잠정치 × 월 총 조업일 수 / 10일 (또는 20일)간 조업일 수 - 매월 10일 데이터로 추정하는 방식은 실제 최종 확정치와 오차가 클 수 있으며 21일, 다음 달 1일로 갈수록 신뢰도가 올라갑니다.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본 자료에 기인한 주식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법적 소재의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수출 잠정치 출처 : Trass
- 데이터 소통창구 : https://open.kakao.com/o/gnEM4JHh
[업데이트 사항]
- 110.1~11.10 수출 잠정치로 인한 최초 작성 (25. 11. 14)
- 110.1~11.20 수출 잠정치 업데이트 (25. 11. 21)
목 차
- 11월 헬스케어 수출 잠정치 요약
- 품목별 상세 실적
- 원료 의약품
- 완제 의약품
- 인체용 백신
- 진단키트
- 치과 임플란트
- 정형외과 임플란트
- 인공관절
- 스탠트
- X-레이 디텍터
- 11월 요약 및 시사점
11월 헬스케어 수출 추정치 요약(11.20일기준)
|
항목 |
구분 |
25년 11월* |
25년 10월 |
24년 11월 |
YoY* (%) |
MoM* (%) |
|---|---|---|---|---|---|---|
| 원료 의약품 | 월별 | 488 | 306 | 248 | +96.6 | +59.7 |
| 12M누적** | 4,310 | 4,070 | 3,052 | +41.2 | +5.9 | |
| 완제 의약품 | 월별 | 119 | 142 | 303 | -60.8 | -16.3 |
| 12M누적 | 2,045 | 2,229 | 2,422 | -15.6 | -8.3 | |
| 인체용 백신 | 월별 | 23.8 | 16.5 | 21.3 | +11.9 | +44.3 |
| 12M누적 | 287 | 285 | 248 | +16.0 | +0.9 | |
| 진단키트 | 월별 | 51.7 | 45.1 | 55.5 | -6.8 | +14.5 |
| 12M누적 | 652 | 656 | 654 | -0.3 | -0.6 | |
| 치과 임플란트 | 월별 | 55.3 | 56.8 | 73.9 | -25.2 | -2.6 |
| 12M누적 | 766 | 785 | 878 | -12.8 | -2.4 | |
| 척추 임플란트 | 월별 | 2.2 | 1.7 | 1.5 | +49.5 | +26.0 |
| 12M누적 | 21 | 20 | 14 | +47.2 | +3.6 | |
| 인공관절 | 월별 | 1.6 | 0.9 | 2.0 | -16.7 | +74.0 |
| 12M누적 | 23.3 | 23.6 | 20.3 | +14.8 | -1.4 | |
| 스텐트 | 월별 | 15.2 | 15.5 | 20.7 | -26.4 | -1.8 |
| 12M누적 | 194 | 200 | 203 | -4.3 | -2.7 | |
| X-레이 부품 | 월별 | 25.0 | 22.2 | 24.4 | +2.6 | +12.7 |
| 12M누적 | 345.2 | 344.6 | 335.4 | +2.9 | +0.2 |
** 최근 12개월 누적치
원료 의약품
- 25년 11월 추정치 기준 원료 의약품 수출은 488 M USD로, 월별 YoY +96.6%, MoM +59.7%입니다.

완제 의약품
- 25년 11월 추정치 기준 완제 의약품 수출은 119 M USD로, 월별 YoY -60.8%, MoM -16.3%입니다.

인체용 백신
- 25년 11월 추정치 기준 인체용 백신 수출은 23.8 M USD로, 월별 YoY +11.9%, MoM +44.3%입니다.

진단키트
- 25년 11월 추정치 기준 진단키트 수출은 51.7 M USD로, 월별 YoY -6.8%, MoM +14.5%입니다.

치과 임플란트
- 25년 11월 추정치 기준 치과 임플란트 수출은 55.3 M USD로, 월별 YoY -25.2%, MoM -2.6%입니다.

정형외과 임플란트
- 25년 11월 추정치 기준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출은 2.2 M USD로, 월별 YoY +49.5%, MoM +26.0%입니다.

인공관절
- 25년 11월 추정치 기준 인공관절 수출은 1.6 M USD로, 월별 YoY -16.7%, MoM +74.0%입니다.

스탠트
- 25년 11월 추정치 기준 스텐트 수출은 15.2 M USD로, 월별 YoY -26.4%, MoM -1.8%입니다.

X-레이 디텍터
- 25년 11월 추정치 기준 X-레이 디텍터 수출은 25.0 M USD로, 월별 YoY +2.6%, MoM +12.7%입니다.

11월 요약 및 시사점 (11.20일 기준)
- 의약품: 원료는 월·연간 동반 급증(월 YoY +96.6%, MoM +59.7%), 12M +41.2%로 개선 기조 강화. 완제는 월·연간 동반 역성장(월 YoY -60.8%, MoM -16.3%), 12M -15.6%로 약세·정체 구간 지속.
- 백신/진단: 인체용 백신은 월별 회복 국면(YoY +11.9%, MoM +44.3%), 12M +16.0%로 중기 성장세 재확인. 진단키트는 월별 혼조(YoY -6.8%, MoM +14.5%), 12M -0.3%로 중기 보합권에 머무는 흐름.
- 의료기기: 치과 임플란트·스텐트는 동반 약세(치과 YoY -25.2%, 스텐트 -26.4%, MoM -2.6%/-1.8%), 12M도 각각 -12.8%/-4.3%로 구조적 조정 국면. X-레이 부품은 월별 플러스 전환(YoY +2.6%, MoM +12.7%), 12M +2.9%로 완만한 회복. 정형외과 임플란트는 월별 강한 성장(YoY +49.5%, MoM +26.0%), 12M +47.2%로 구조적 성장 스토리 유지. 인공관절은 월간 급반등(MoM +74.0%, YoY -16.7%)에도 12M +14.8%로 우상향 기조 유지하나 변동성 큰 편.
- 종합: 11월에는 품목별 온도 차가 뚜렷. 원료 의약품·인체용 백신·정형외과 임플란트·X-레이 부품이 회복/성장 축, 완제 의약품·치과 임플란트·스텐트는 약세 축. 12M 기준으로는 원료 의약품(+41.2%)·정형외과 임플란트(+47.2%)가 상승 축, 완제 의약품(-15.6%)·치과 임플란트(-12.8%)는 구조적 조정/정체 구간으로 구분 가능.
주요 관련종목
- 원료의약품(API)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셀트리온 (068270),에스티팜 (237690), 바이넥스 (053030), 일양약품 (007570) 등 - 완제의약품
유한양행 (000100), 한미약품 (128940), 종근당 (185750), 동아에스티 (170900),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셀트리온 (068270) - 백신
GC녹십자 (006280), SK바이오사이언스 (302440), 유바이오로직스 (206650) - 진단키트
씨젠 (096530), SD바이오센서 (137310) - 치과임플란트
덴티움 (136490) - 정형외과 임플란트
오스테오닉 (226400), 코렌텍 (104540), 시지메드텍 (056090), 엘앤케이바이오 (156100) - 인공관절
코렌텍 (104540), 루트락 (Konex), 엘앤케이바이오 (156100), 셀루메드 (049180) - 스텐트·기타 의료장비
엠아이텍 (179290) - X-레이 디텍터·의료영상장비
뷰웍스 (100120), 레이언스 (228850), 디알텍 (214680)
[품목 수출통계 검색에 사용된 HS코드]
원료의약품 : 3002.14.0000 | 완제의약품 : 3002.15.0000 | 인체용 백신 : 3002.41.0000 | 진단키트 : 3822.19 | 치과 임플란트 : 9021.29.0000 | 정형외과 임플란트 : 9021.10 | 인공관절 : 9021.31.0000 | 스탠트 : 9021.90 | X레이관련부품(디텍터등) : 9022.90
(HS 코드에 따라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차이가 날 수 있음)
품목별 수출 데이터 조회는 아래 링크 참조하세요.
다른 섹터의 수출 동향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참조해주세요.
“본 게시물의 내용은 일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투자 결정 및 그에 따른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