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수 118

업데이트 이력

  • 최신 업데이트: 2025년 10월 14일 기준
    • 25.8.5 최초작성.
    • 8.10 잠정치 반영 및 7월 확정치, 업체별 7월 추정치 업데이트 (8.19)
    • 8.20 잠정치 업데이트 (8.22)
    • 8월말 잠정치 업데이트 (9.1)
    • 9월10일 잠정치 및 8월 업체별 추정 실적 업데이트 (9.17)
    • 9월20일 잠정치 압데이트 (9.22)
    • 9월30일 잠정치 압데이트 (10.1)
    • 10월10일 잠정치 압데이트 (10.14)
  • 다음 업데이트 예정일: 2025년 10월 15일 이후 (업체별 9월 수출 추정치 반영)

국내 보툴리눔 톡신 산업은 글로벌 헬스케어 수요 증가와 미용·의료 시장 변화에 따라 매년 뚜렷한 실적 변동을 보이고 있습니다.
본 리포트는 톡신 수출 동향을 월·10일 단위(10일단위 수출 잠정치)로 정기 업데이트하여, 투자자들이 관련 산업의 흐름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주요 기업별 실적 트렌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특히, 업체별 HS코드 기반의 수출 통계와 소재지 매핑을 통한 간접 추정치를 바탕으로, 글로벌 수요 변동과 시장 점유율 변화를 선제적으로 분석하고 투자 판단의 근거를 제공합니다. 향후에도 최신 수출 데이터와 업계 주요 이슈를 꾸준히 반영하여, 투자자 여러분의 현명한 의사결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2.1 수출 잠정치(9월)

로딩 중…

 2.2 월별 수출


(’25)
수출액
(M USD)
중량
(TON)
단가
MUSD/TON
YoY
(%)
MoM
(%)
127.852530,570+28.5-35.7
227.249556,700+4.1-2.1
340.471565,830+0.7+48.7
448.8481,017,940+75.1+20.8
544.081541,290+7.7-9.8
641.445910,960+11.1-6.0
740.462655,100+32.3-2.5
844.190488,970+31.5+9.2
950.597522,980+12.3+14.6
10(추정)126.6190665,550+197.6+150.6

  2.3 월별 수출 트렌드

  • 수출액 추정치 : 126.6M USD — 전년비 +197.6% YoY, 전월비 +150.6% MoM연중 최고치에 근접.
  • 물량: 약 190 t — 전월비 +96.9%, 전년비 +132.0%로 볼륨 확대가 뚜렷.
  • 단가: 약 665,550 USD/톤(= 665.55 USD/kg × 1,000) — 전월비 +27.3%, 전년비 +28.3%로 가격 레벨도 동반 상승.
  • 누적(1–10월, YTD): 573.3M USD, +37.5% YoY — 연간 성장세 유지·강화.
  • 추석 연휴 영향: 본 잠정치는 10월 10일까지의 집계이나, 연휴로 실제 조업일수 기준 3일치 데이터만을 바탕으로 10월 전체를 환산 추정한 값입니다.
  • 샘플 부족에 따른 오차 확대: 샘플링 개수가 매우 작아 월말 확정치와의 괴리(오차)가 클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합니다.
  • 편중 가능성: 연휴 전후 선·후행 선적(전진/이연 출하)으로 품목별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추정 로직: 통상 (해당 기간 누적 잠정치 × 월 전체 조업일수 ÷ 해당 기간 조업일수) 방식으로 월말 환산되며, 월 중반·말로 갈수록 값이 유의미하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9월 보툴리눔 톡신 수출 요약 보기

9월 보툴리눔 톡신 수출 요약 및 시사점

  • 9월 톡신 수출액은 잠정치 기준 50.5M USD로, 전년 대비 +12.3% YoY, 전월 대비 +14.6% MoM 증가.
  • 8월에 이어 두 달 연속 플러스 성장세를 이어가며, 단기 변동성 국면을 벗어나 회복 흐름이 강화되는 모습.
8월 보툴리눔 톡신 수출 요약 보기

8월 보툴리눔 톡신 수출 요약 및 시사점

  • 8월 톡신 수출액은 44.1M USD로 잠정 집계, 전년 대비 +31.5%, 전월 대비 +9.7% 증가.
  • 상반기 조정 이후 7월 소폭 감소(-2.9%)에서 다시 반등, 연중 흐름상 변동성 속 성장세 유지.
  • 하반기 성수기 진입과 주요 업체(휴젤·대웅제약·메디톡스 등) 해외 매출 확대 여부가 향후 추세를 좌우할 전망.
7월 보툴리눔 톡신 수출 요약보기

7월 보툴리눔 톡신 수출 요약 및 시사점

7월 보툴리눔 톡신 수출 요약 및 시사점

  • 7월 보툴리눔 톡신 수출 요약 및 시사점
  • 수출액: 36.7 백만 USD (7월말 기준)  YoY: +20.2%, MoM: –11.6%
  • 7월말 최종 잠정치는 6월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연간 성장 흐름은 견조(+22.1%).

 4.1 업체별 수출액 추정 방법

  – HS 코드 기반 지역 수출 통계 – 업체 소재지 맵핑을 통한 간접추정

HS코드 업체 지역
3002491000, 
3002909000
휴젤 강원 춘천시
메디톡스 충북 청주시
대웅제약 경기 화성시
휴온스글로벌 경기 성남시

 4.2 휴젤

  • 월간 수출 16.4M달러(+193.0% YoY, +294.0% MoM)로 전년·전월 대비 모두 큰 폭 증가.
  • 최근 12개월 누적 수출 93.8M달러(+21.1% YoY, +13.1% MoM)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임.
항목 25.08
(M USD)
25.07
(M USD)
24.08
(M USD)
YoY
(%)
MoM
(%)
월별 16.4 4.2 5.6 +193.0 +294.0
12M누적 93.8 83.0 77.4 +21.1 +13.1
톡신 수출액 추정치 : 휴젤 (8월)
톡신 수출액 추정치 : 휴젤 (8월)

 4.3 메디톡스

  • 월간 수출 3.9M달러(+171.1% YoY, -24.8% MoM)로 전년 대비는 큰 폭 증가했지만, 전월 대비로는 감소세.
  • 최근 12개월 누적 수출 48.9M달러(-5.6% YoY, +5.4% MoM)로 전년 대비 감소세이나, 직전 월보다 소폭 반등.
항목 25.08
(M USD)
25.07
(M USD)
24.08
(M USD)
YoY
(%)
MoM
(%)
월별 3.9 5.2 1.5 +171.1 -24.8
12M누적 48.9 46.4 51.8 -5.6 +5.4
톡신 수출액 추정치 : 메디톡스 (8월)
톡신 수출액 추정치 : 메디톡스 (8월)

4.4 대웅제약

  • 월간 수출 6.7M달러(-52.2% YoY, -60.9% MoM)로 전년·전월 대비 모두 큰 폭 감소.
  • 최근 12개월 누적 수출 138.9M달러(+23.1% YoY, -5.0% MoM)로 전년 대비 증가세는 이어가고 있으나, 직전 월 대비로는 감소세.
항목 25.08
(M USD)
25.07
(M USD)
24.08
(M USD)
YoY
(%)
MoM
(%)
월별 6.7 17.1 14.0 -52.2 -60.9
12M누적 138.9 146.3 112.9 +23.1 -5.0
톡신 수출액 추정치 : 대웅제약 (8월)
톡신 수출액 추정치 : 대웅제약 (8월)

 4.5 휴온스글로벌

  • 월간 수출 5.9M달러(+220.5% YoY, +445.6% MoM)로 전년·전월 대비 모두 큰 폭 증가.
  • 최근 12개월 누적 수출 42.6M달러(+73.6% YoY, +10.5% MoM)로 전년 대비와 전월 대비 모두 뚜렷한 상승세.
항목 25.08
(M USD)
25.07
(M USD)
24.08
(M USD)
YoY
(%)
MoM
(%)
월별 5.9 1.1 1.8 +220.5 +445.6
12M누적 42.6 38.6 24.6 +73.6 +10.5
톡신 수출액 추정치 : 휴온스글로벌 (8월)
톡신 수출액 추정치 : 휴온스글로벌 (8월)
  • 휴젤 : 8월 단월 수출이 전년·전월 대비 모두 큰 폭 증가하며 톡신 수출 반등세 뚜렷. 누적 기준으로도 안정적 성장세 유지.
  • 메디톡스 : 전년 대비 단월 수출은 증가했으나 전월 대비 감소. 누적 수출은 여전히 전년 대비 약세로 반등 필요.
  • 대웅제약 : 8월 단월 수출은 전년·전월 모두 큰 폭 감소했으나, 누적 수출은 여전히 업계 최대 규모를 유지하며 장기 성장세는 지속.
  • 휴온스글로벌 : 단월·누적 모두 전년·전월 대비 큰 폭 증가세를 기록, 신흥 성장주자로 입지 강화.
업체별 톡신 7월 수출 실적 요약 및 시사점
  • 대웅제약 독주 : 7월 단월·누적 모두 가장 큰 성장폭을 기록하며 시장 내 우위를 강화.
  • 휴젤·메디톡스 : 단기 실적은 부진, 특히 메디톡스는 누적 기준으로도 감소세 → 반등 필요.
  • 휴온스글로벌 : 변동성이 크지만 YoY 증가율은 두드러져 신흥 성장주자로 부각.
  • 산업 전반 : 7월 실적만 놓고 보면 업체별 편차가 극심, 글로벌 수요·지역별 수출 환경 변화가 실적에 크게 작용 중.


25년 톡신 수출 동향
25년 톡신 수출 동향

관련글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