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수 5

리서치 개요

본 리서치는 2025년 10월 헬스케어(의약·의료기기) 수출 통계를 기반으로, 국내 제약·바이오 및 의료기기 산업의 최신 업황과 주요 품목별 실적 흐름을 분석한 자료입니다. 원료·완제 의약품, 인체용 백신, 진단키트, 치과·정형외과 임플란트, 인공관절, 스탠트, X-레이 디텍터 등 핵심 품목의 수출 데이터를 종합해 관련 기업들의 실적을 조기에 파악하고 투자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분석은 매월 10일 단위로 발표되는 수출 잠정치를 활용해 월간 수출 실적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선제적인 리스크 대응과 투자 기회의 조기 선점을 지원합니다. 특히 10월 헬스케어 수출 실적과 MoM·YoY 변화율, 품목별 성장·조정 트렌드까지 상세히 포함해, 제약(원료·완제), 백신·진단, 의료기기(임플란트·인공관절·스탠트·영상장비) 등 세부 카테고리별 시장 동향을 정밀하게 점검했습니다.

본 자료를 통해 국내 헬스케어 산업의 구조적 변화와 주요 기업의 실적 전망을 사전에 파악하시기 바라며, 10월 수출 잠정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적 방향성과 업종 트렌드를 선제적으로 확인해 투자 전략 수립에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데이터 확인 전 필독사항]

  • 월별 수출 추정치는 매월 11, 21, 다음달 1일에 발표되는 10일, 20일 및 월말 수출 잠정치로 부터 추정한 값으로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음달 1일 발표되는 잠정치가 가장 신뢰할 만합니다. 
  • 11일, 21일 발표되는 수출 잠정치로 부터의 당월 추정은 현재의 추세가 월말까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산출된 추정치임을 반드시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예 ) 월 수출 추정치 =  10일( 또는 20일) 수출 잠정치 × 월 총 조업일 수 / 10일 (또는 20일)간 조업일 수
  • 매월 10일 데이터로 추정하는 방식은 실제 최종 확정치와 오차가 클 수 있으며 21일, 다음 달 1일로 갈수록 신뢰도가 올라갑니다.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본 자료에 기인한 주식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법적 소재의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수출 잠정치 출처 : Trass
  • 데이터 소통창구 : https://open.kakao.com/o/gnEM4JHh

[업데이트 사항]

  • 10.1~0.10 수출 잠정치로 인한 최초 작성 (25. 10. 14) 

목 차

  1. 10월 헬스케어 수출 잠정치 요약
  2. 품목별 상세 실적
    • 원료 의약품
    • 완제 의약품
    • 인체용 백신
    • 진단키트
    • 치과 임플란트
    • 정형외과 임플란트
    • 인공관절
    • 스탠트
    • X-레이 디텍터
  3. 10월 요약 및 시사점

10월 헬스케어 수출 추정치 요약(10월 10일 기준)

항목

구분

25년 10월*
(M USD)

25년 9월
(M USD)

24년 10월
(M USD)

YoY*

(%)

MoM*

(%)

원료 의약품 월별 161 534 301 -46.5 -69.9
12M누적** 3,926 4,065 3,054 +28.6 -3.4
완제 의약품 월별 52 160 159 -67.1 -67.1
12M누적 2,139 2,246 2,244 -4.7 -4.8
인체용 백신 월별 13.0 14.8 24.6 -47.1 -11.8
12M누적 281 293 246 +14.3 -4.0
진단키트 월별 52.7 58.4 49.3 +7.0 -9.8
12M누적 658 655 654 +0.6 +0.5
치과 임플란트 월별 45.2 76.8 63.2 -28.5 -41.2
12M누적 772 790 877 -12.0 -2.3
척추 임플란트 월별 1.5 2.5 1.2 +25.3 -39.4
12M누적 20 19 14 +37.7 +1.6
인공관절 월별 1.6 2.1 2.4 -31.1 -22.3
12M누적 24.3 25.1 20.5 +18.9 -2.9
스텐트 월별 14.7 16.1 19.3 -23.6 -8.6
12M누적 199 203 199 -0.3 -2.2
X-레이 부품 월별 16.8 32.3 23.5 -28.5 -48.0
12M누적 338.8 345.5 342.7 -1.1 -1.9
* 추정치
** 최근 12개월 누적치

원료 의약품

로딩 중…

완제 의약품

로딩 중…

인체용 백신

로딩 중…

진단키트

로딩 중…

치과 임플란트

로딩 중…

정형외과 임플란트

로딩 중…

인공관절

로딩 중…

스탠트

로딩 중…

X-레이 디텍터

로딩 중…

9월 요약 및 시사점

요약

  • 원료 의약품: YoY -46.5%, MoM -69.9% → 전년·전월 모두 큰 폭 감소
  • 완제 의약품: YoY -67.1%, MoM -67.1% → 전년·전월 동반 하락, 부진 심화
  • 인체용 백신: YoY -47.1%, MoM -11.8% → 감소세 지속, 회복 지연
  • 진단키트: YoY +7.0%, MoM -9.8% → 전년 대비 플러스 유지하나 월간 조정
  • 치과 임플란트: YoY -28.5%, MoM -41.2% → 전년·전월 모두 하락, 수요 둔화
  • 척추 임플란트: YoY +25.3%, MoM -39.4% → YoY 증가, MoM 급감으로 혼조
  • 인공관절: YoY -31.1%, MoM -22.3% → 동반 하락, 약세 지속
  • 스텐트: YoY -23.6%, MoM -8.6% → 전년·전월 모두 하락, 완만한 약세
  • X-레이 부품: YoY -28.5%, MoM -48.0% → 동반 급감, 단기 변동성 확대

시사점

  • 의약품: 10월엔 원료·완제 모두 부진. 다만 12M 기준으로 원료(+28.6%)는 중기 우상향, 완제(-4.7%)는 약세 → 품목별 체력 격차 확인 필요.
  • 백신/진단: 백신은 하락 지속, 진단키트는 YoY 플러스로 방어적 흐름. 지역/제품 믹스와 단가 변수 점검.
  • 의료기기: 치과·인공관절·X-레이는 동반 약세. 척추 임플란트는 YoY 플러스이나 월간 급락으로 추세 재확인 필요. 스텐트는 완만한 약세.

해석 유의(중요)

  • 추석 연휴 영향: 10월 10일까지 조업일수 기준 3일치 데이터만으로 월말 환산 추정한 값입니다.
  • 오차 가능성: 샘플이 매우 작아 월말 확정치와의 오차가 클 수 있음에 유의하세요.
  • 편중 위험: 연휴 전후 전진/이연 출하 등으로 품목별 수치 왜곡 가능.

주요 관련종목

  • 원료의약품(API)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셀트리온 (068270),에스티팜 (237690), 바이넥스 (053030), 일양약품 (007570) 등
  • 완제의약품
    유한양행 (000100), 한미약품 (128940), 종근당 (185750), 동아에스티 (170900),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셀트리온 (068270)
  • 백신
    GC녹십자 (006280), SK바이오사이언스 (302440), 유바이오로직스 (206650)
  • 진단키트
    씨젠 (096530), SD바이오센서 (137310)
  • 치과임플란트
    덴티움 (136490)
  • 정형외과 임플란트
    오스테오닉 (226400), 코렌텍 (104540), 시지메드텍 (056090), 엘앤케이바이오 (156100)
  • 인공관절
    코렌텍 (104540), 루트락 (Konex), 엘앤케이바이오 (156100), 셀루메드 (049180)
  • 스텐트·기타 의료장비
    엠아이텍 (179290)
  • X-레이 디텍터·의료영상장비
    뷰웍스 (100120), 레이언스 (228850), 디알텍 (214680)

[품목 수출통계 검색에 사용된 HS코드]

원료의약품 : 3002.14.0000 | 완제의약품 : 3002.15.0000 |  인체용 백신 : 3002.41.0000 | 진단키트 : 3822.19 | 치과 임플란트 : 9021.29.0000 | 정형외과 임플란트 : 9021.10 | 인공관절 : 9021.31.0000 |  스탠트 : 9021.90 |  X레이관련부품(디텍터등) : 9022.90 

(HS 코드에 따라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차이가 날 수 있음)

폼목별 상세 수출 통계 폼목별 수출 통계 데이터 허브. HS코드 기반 산업별·기업별 수출 동향을 확인하고, 원하는 품목을 클릭해 상세 통계와 분석 리포트를 열람하세요. moneyrecipe.blog · 2025-08-12

다른 섹터의 수출 동향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참조해주세요.

25년 9월 수출 잠정치 분석: 이차전지 2025년 9월 잠정치 기준 이차전지 수출 추정치 분석. 완제품은 전월 대비 반등했으나 전년 대비 약세, 양극재·음극재는 회복세 주도. 분리막은 견조한 증가세, 전해액은 전월 대비 하락으로 단기 변동성 확인. 추세 지속 여부는 월말 확정치에서 판단 필요. moneyrecipe.blog · 2025-09-11 25년 9월 수출 잠정치 분석: 반도체·IT 2025년 9월 잠정치 기준 한국 반도체 수출 추정치 요약. DRAM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고, 스마트폰·디스플레이·MLCC가 반등을 주도했다. 반면 낸드·시스템반도체·실리콘웨이퍼는 부진세를 보였으며, 장비는 단기 부진에도 불구하고 L12개월 기준 중장기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moneyrecipe.blog · 2025-09-11 25년 9월 수출 잠정치 분석: K-뷰티 2025년 9월 잠정치 기준 K-뷰티 수출 추정치를 정리했습니다. 기초·메이크업 화장품은 강한 반등세를 보였고, 가정용 미용기기는 약세 지속 속 전월 대비 큰 폭 반등했습니다. 의료용 미용기기는 고성장세를 이어갔으며, 보툴리눔 톡신과 필러는 모두 뚜렷한 플러스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moneyrecipe.blog · 2025-09-11 25년 9월 수출 잠정치 분석: K-푸드 2025년 9월 잠정치 기준 K-푸드 수출 추정치. 라면·간편식·건강기능식품이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이며 수출을 견인했고, 김 역시 +33.2% 증가세를 기록. 스낵도 플러스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음료는 전월 대비 반등. 아이스크림은 계절성 영향으로 소폭 조정. moneyrecipe.blog · 2025-09-11

“본 게시물의 내용은 일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투자 결정 및 그에 따른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관련글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