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데이트 이력
- 최신 업데이트: 2025년 8월 17일 기준
- 현재 포함된 데이터: 2025년 6월 수출 실적 추정치 (7.30)
- 2025년 7월 실적 및 2분기 수출치 업데이트 (8.17)
- 다음 업데이트 예정일: 2025년 9월 15일 이후 (8월 데이터 반영)
1. 서 론
메타바이오메드(Meta Biomed Co., Ltd., 059210)는 1990년 3월 설립 이래 합성 흡수성 봉합사, 치과용 기자재, 골수복재 분야에 집중해온 의료기기 전문 기업입니다. 주요 제품군은 폴리글리콜산(PGA), 폴리디옥사논(PDO), 폴리글리콜라이드‑토‑에틸렌 카프로락톤(PGCL) 등 다양한 생체흡수성 봉합사와, 근관충전용 실러·테이퍼 포인트·전자 근관장 측정기 등 치과용 장비, 100% B‑TCP 기반 골이식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 100여 개국, 250여 개 판매망을 통해 공급되며, 수출이 매출의 약 83%를 차지합니다. 2008년 4월 15일 코스닥에 상장된 이후 FDA, CE·ISO 9001 인증을 비롯해 NMPA 등 주요 국가의 규제 등록을 완료하며 전방위적 품질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원료부터 완제품까지 GMP 기반 일괄생산(one‑step manufacturing) 시스템과 실시간 온·습도 관리, 엄격한 QC 프로세스를 적용해 의료용 소재로서의 안전성과 일관성을 보장합니다. R&D는 생체흡수성 폴리머(PLA, PGA, PDO) 기반 봉합사 및 기능성 의료소재 개발에 집중하며, 특히 자체 개발한 필라멘트 추출·교차결합(Cross‑linking) 기술로 조직 반응을 줄이고 견인력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자료는 메타바이오메드의 2025년 HS 코드 기반 수출 실적을 월별로 정리하여, 투자자들에게 월간·분기별 수출 추이, MoM·YoY 변화 및 투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한국무역협회 및 관세청 공식 통계를 활용해 공시 발표 이전에 수출 모멘텀을 선제적으로 파악하려는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드릴 것입니다.
2. 추정 방식 및 기준
- 메타바이오메드 주력 품목인 치과용 기자재 및 봉합사의 HS코드로부터 수출 통계 데이터 추출 및 합산하여 집계
- 수출 지역: 충북 청주시의 해당업체 관련 품목 hs코드의 수출 실적을 기준으로 추정
- 데이터 출처: 한국무역협회, 관세청 월간 수출통계
- 실적은 국내 전체 수출 데이터에서 특정 기업의 주요 품목 및 지역별 필터링을 통해 간접 추정됩니다.
3. 메타바이오메드 추정 수출 실적 요약 (2025년 7월 기준)
3.1 월 수출액 추정치 (7월 업데이트)
월 | 월간 (M USD) | 12개월 누적 (M USD) | ||||
---|---|---|---|---|---|---|
수출액 | YoY (%) | MoM (%) | 수출액 | YoY (%) | MoM (%) | |
1월 | 4.8 | -11.0% | -22.5% | 66.2 | +12.1% | -0.9% |
2월 | 5.3 | +7.7% | +11.6% | 66.6 | +11.1% | +0.6% |
3월 | 5.8 | +27.9% | +8.8% | 67.8 | +13.7% | +1.9% |
4월 | 5.9 | -2.3% | +2.2% | 67.7 | +12.9% | -0.2% |
5월 | 5.0 | -11.4% | -15.2% | 67.1 | +10.6% | -0.9% |
6월 | 5.5 | -7.1% | +9.8% | 66.6 | +8.3% | -0.6% |
7월 | 5.5 | -3.4% | -0.7% | 66.4 | +5.7% | -0.3% |
8월~12월 | (업데이트 예정) |

- 2025년 7월 메타 바이오메드의 수출액 추정치는 5.5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3.4%, 전월 대비 -0.7% 감소 예상.
- 12개월 누적 수출액 추정치는 66.4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으며, MoM 변화는 -0.3%로 소폭 감소 예상.
- 전반적으로 수출 실적은 성장 둔화세가 나타나고 있음.
4. 주력 품목 수출 실적(7월 업데이트)
4.1 치과용 기자재 및 봉합사 수출액
항목 | 수출액 (백만 USD) | 전년비 (%) | 전월비 (%) | ||
---|---|---|---|---|---|
25년 7월 | 25년 6월 | 24년 7월 | |||
치과용 기자재 | 2.9 | 3.3 | 3.5 | -17.9 | -12.0 |
봉합사 | 2.6 | 2.2 | 2.1 | +20.4 | +15.9 |
합계 | 5.5 | 5.5 | 5.6 | -3.4 | -0.7 |
4.2 주력 품목 수출트렌드


4.3 주력 품목별 요약
- 치과용 기자재 수출액은 2.9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17.9%, 전월 대비 -12.0% 감소
- 봉합사는 2.6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4%, 전월 대비 +15.9% 증가.
- 최근 12개월 누적 기준 추세는 주요 품목 모두 둔화세
5. 분기별 수출 추정치 (2025년)
분기 | 추정 수출액 (M KRW) |
YoY (%) |
QoQ (%) |
공시 실적 (M KRW) |
오차율 (%) |
---|---|---|---|---|---|
Q1 | 23,013 | +17.0% | -6.8% | 25,351 | -9.2% |
Q2 | 23,001 | -4.8% | +0.0% | 22,386 | +2.8% |
Q3 | (진행 중) | – | – | – | – |
Q4 | (예정) | – | – | – | – |
- 2025년 1분기 추정 수출액은 23,013백만 원으로 전년 대비 +17.0% 증가했으나, 전분기 대비 -6.8% 감소. 실제 공시 실적은 25,351백만 원으로 오차율은 -9.2%.
- 2분기 추정 수출액은 23,001백만 원으로 전년 대비 -4.8%, 전분기 대비 0.0% 로 정체 예상되었음. 실제 공시 실적은 22,386백만 원으로 오차율은 +2.8%로 상당히 오차가 낮은 수준으로 예측됨.
※ 공시 실적은 기업의 분기보고서 내 수출 또는 해외 매출 부문 기준입니다.
※ 오차율은 |추정 – 실제| ÷ 실제 × 100(%)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 분기별 총합은 각 월간 추정치를 합산해 작성되며, 실적 시즌에 참고용으로 제공합니다.
6. HS코드 기반 수출액 추정치 신뢰도
수출 데이터 기반 실적 추정은 통계적 간접 접근으로, 실제 기업 실적과 오차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2022~2025년 2Q까지 데이터 기준, 메타비이오메드의 수출액 추정치는 평균적으로 실제 수출 실적과 +2.9% 수준의 오차 범위를 보였습니다. 또한, 추정치와 실제 수출 실적 사이의 월별 상관계수는 약 0.85 수준으로, 방향성과 트렌드 추정에는 유의미한 신뢰도를 보입니다.
- 평균 오차율(MPE): +2.9%
- 분기별 오차의 표준편차(σ): 10.6%
- 상관계수(r): 0.85
※ 상관계수
- r = +1.0: 완벽한 양(+)의 선형 상관관계 (변수가 정확히 함께 증가함)
- +0.7 ≤ r < +1.0: 강한 양의 상관관계
- +0.4 ≤ r < +0.7: 중간 정도 양의 상관관계
- +0.1 ≤ r < +0.4: 약한 양의 상관관계

7. 요약 및 시사점
7월 요약
- 2025년 7월 메타바이오메드의 추정 수출액은 5.5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3.4%, 전월 대비 -0.7% 감소하였음.
- 12개월 누적 수출액은 66.4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으나, MoM 변화는 -0.3%로 소폭 감소한 상황.
- 전반적으로 수출 실적은 성장 둔화가 나타나고 있음..
7월 시사점
- 메타바이오메드는 하반기 실적 회복을 기대할 수 있으나, 주요 품목인 치과용 기자재 및 봉합사 수출에서 둔화가 나타나고 있어 모니터링이 중요.
- 수출 실적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주요 시장 동향에 대한 주의 깊은 분석이 필요.
참고. 1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
- 메타바이오메드의 25년 2Q기준으로 매출액 대비 수출액은 90%로, 매출의 대부분을 해외 수출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

“다른 폼목”의 최신 수출 동향은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본 자료는 통계 기반의 간접 추정치로, 실제 실적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게시물의 내용은 일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투자 결정 및 그에 따른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